-
"누구나 창의력-비판적 사고 필요...교사열정 더해지면 IB교육 꽃필것". 에듀 인터뷰 / 'IB 프로그램 전도사'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. 동아일보. 2023.01.26.
-
IB를 말한다 2부_이혜정 소장_교육과혁신연구소_귤쌤 공연. 경기도혁신교육연수원. 2022.10.14.
-
IB를 말한다 1부_이혜정 소장_교육과혁신연구소_오씰밴드 공연. 경기도혁신교육연수원. 2022.10.13.
-
앎과 삶을 잇다! 2022 학부모 아카데미. [이혜정 소장] 생각을 꺼내는 시대, 배움이 즐거운 아이로 키우는 법. 대구교육청. 2022.08.18.
-
IB가 공교육에 들어오면 영어교육은 더 중요해지나요? 3부/ feat 이혜정 소장님 / 혼공TV. 2022.09.30.
-
IB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가 도입되면 사교육은 늘어날까요? 2부/ feat 이혜정 소장님 / 혼공TV. 2022.09.27.
-
꺼내는 교육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 IB가 전국적으로 상승기를 맞이하고 있다 1부/ feat 이혜정 소장님 / 혼공TV. 2022.08.26.
-
[대한민국 미래를 세우다] "필수 시청! 왜 지금 IB인가?" CTS TV. 2021.11.04.
-
[대한민국 미래를 세우다] "평가를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!" CTS TV. 2021.11.02.
-
[대한민국 미래를 세우다] ""내 생각이 아니라 '글쓴이'의 생각을 중요시 하는 한국 시험" CTS TV. 2021.10.22.
-
[IB 3탄] "IB와 사교육의 관계 / 최근 제주도 IB 소식 feat. 이혜정 소장님" 혼공TV. 2021.10.01.
-
[제5회 웨비나 콘퍼런스] 이혜정 소장 “주입식 교육은 AI에 백전백패… ‘꺼내는 교육’에서 혁신 시작” 한국대학신문. 2021.08.26.
-
[기획-미래교육] '구한말 근대화' 전철 밟지 않으려면 뉴스포스트. 2021.08.11.
-
대입개편으로 급부상한 'IB 교육' 바로알기! 교육대기자TV. 2021.05.27.
-
충격적인 서울대 우등생들의 A+ 비법! 교육대기자TV. 2021.05.25.
-
[IB 2탄] "IB에 대해 당신이 알아야 할 중요한 이야기" 혼공TV. 2021.05.10.
-
[IB 1탄] "이제는 IB의 시대! 대한민국의 평가를바꿔봅시다" 혼공TV. 2021.04.14.
-
“사이버대학 제도라는 보호막보다 교육의 콘텐츠와 퀄리티로 승부해야" 한국대학신문. 2020.07.22.
-
[이혜정 소장의 교육혁신 4탄] 수능이냐, 학종이냐/ 시대의 흐름을 정확히 읽어야. Education Shakers. 2020.07.24.
-
[2020 UCN President Summit 기조강연]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 - 언택트 시대 원격교육의 방향과 혁신. 한국대학신문/한국원격교육협의회. 2020.07.23.
-
[이혜정 소장의 교육혁신 3탄] 생각을 꺼내는 교육, IB를 말한다. Education Shakers. 2020.07.17.
-
[이혜정 소장의 교육혁신 2탄] 포스트 코로나 시대, 최고의 온라인 수업. Education Shakers. 2020.07.10.
-
[이혜정 소장의 교육혁신 1탄] 대한민국의 시험을 바꿔라! Education Shakers. 2020.07.03.
-
“포스트 코로나대비 온·오프라인 연계 ‘유비쿼터스 교육’ 필요” 조선에듀. 2020.04.28.
-
“[단短터뷰] 교육과혁신연구소 이혜정 소장-한국의 시험. 2020.02.05.
-
“IB 도입 이후 우리나라 교육 달라질 것… 패러다임 변화 필요” 조선에듀. 2019.12.16.
-
"대한민국 교육혁신 - 평가를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" 강원도민TV. 2019.08.13.
-
"객관식 상대평가만 공정하다는 신념 깨지기 시작할것" 오마이뉴스. 2019.07.31.
-
"정답찾기 평가하는 수능으론 미래인재 안나와" 매일경제. 2019.07.27.
-
[IB 문답] "IB도입, 비싸고 근사한 외제 자동차 수입하는 것 같다?" 에듀인뉴스. 2019.04.25.
-
"'한국어 IB' 비판의 90% 이상은 오해에서 비롯" 오마이뉴스. 2019.04.24.
-
[다시 보는 글로벌인재포럼 2018] 이혜정 "한국 학교의 평가, 조선시대 과거시험보다도 시대착오적" 한국경제. 2019.02.04.
-
이혜정 소장 "계약 앞둔 IB, 2023년 입시 치르는것이 목표" 에듀인뉴스. 2019.01.14.
-
"하버드·서울대 입학...IB 테스트 '넌 누구냐'" 중앙일보. 2018.10.19.
-
[인터뷰]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 "수능과 학종 프레임 벗어난 교육혁신 시급" 인터뷰365. 2018.09.20.
-
"프랑스 바칼로레아와 국제 바칼로레아는 달라요" [인터뷰] ‘IB 교육평가 정책연구책임자’ 이혜정 교육과혁신연구소장 오마이뉴스. 2018.09.18.
-
"국제 바칼로레아 국내 공교육 도입 3단계 방안 나왔다" 오마이뉴스. 2018.06.23.
-
"수능 안 보고 바칼로레아(IB)만 이수해도 국내 대학 입학 가능" 오마이뉴스. 2018.03.10.
-
“시험이 바뀌면 지식습득·독서법도 바뀐다” 한겨레. 2018.02.13.
-
[쓸모있는 교육 이야기] “4차 산업혁명 시대, 달달 외워 정답 찾기로는 인재 못 키워” 서울신문. 2018.02.02.
-
[신년 인터뷰] 『교육과혁신연구소 이혜정 소장』 독서신문. 2018.01.04.
-
“AI 시대, 인성교육이 ‘백신’처럼 필요해요” 한경매거진 MONEY. 2017.11.01.
-
"평가방식을 바꿔야 교육혁신 성공한다" 한 목소리. 오마이뉴스. 2017.09.26.
-
"몇 과목 절대평가냐 싸울 일 아냐…완전히새로운 시험 필요" 연합뉴스. 2017.09.21.
-
"교육은 물 만난 물고기를 만드는 물이어야 합니다" 월간<좋은교사>. 2017.09.19.
-
"수능을 완전히 바꿔야 대한민국이 바뀝니다" 뉴스1. 2017.09.21.
-
"교육이 희망이다 - 교육과혁신연구소 이혜정 소장" eduTV. 2017.08.18.
-
"대학 정시, 김연아·박태환을 달리기로 평가하는 꼴" 오마이뉴스. 2017.06.30.
-
“고교내신과 융합·창의능력은 아무 관계 없었다” 매일경제. 2017.06.25.
-
“암기-계산 위주 수능 수학… 케임브리지 공대 합격생도 ‘쩔쩔’” 동아일보. 2017.06.12.
-
"허울뿐인 ‘팀티칭’ 학생들은 어리둥절" 한국대학신문. 2017.04.24.
-
[최보식이 만난 사람] “高학점 비결은 앞자리 앉고, 강의 내용 모두 받아 적는 것, 농담까지” [’대한민국의 시험'을 시험대에 올리다… ‘서울대에서는 누가 A+를 받는가’ 저자 이혜정 박사] 조선일보. 2017.03.20.
-
‘정답만 찾는 교육 싫다’ 학교 탈출한 딸 … 암기 교육 비판책 또 펴낸 계기 됐어요. 중앙일보. 2017.02.17.
-
“AI 시대, 자녀 교육의 ABC를 말하다” 한경매거진 MONEY. 2017.01.04.
-
"'수능'이 바뀌어야, 대한민국도 바뀝니다" 조선에듀. 2016.11.25.
-
대한민국의 교육, 그리고 교육 개혁 - EBS 다큐프라임 <시험> 속 충격적 연구의 주인공, 이혜정 소장을 만나다. 이화이언. 2016.04.29.
-
[EBS 초대석] “서울대에서 A+를 받는 비법 - 교육과혁신연구소장 이혜정” EBS. 2016.04.25.
-
"대학 신입생 여러분 이렇게 공부하세요" 서울대에서 A+ 받는 학생들 집중 연구한 이혜정 소장의 '씁쓸한' 충고. 노컷뉴스. 2016.03.03.
-
아이를 수용적 학습자로 키우면 안되는 이유. 미즈코치. 2016.01.25.
-
"'서울대생 1% 공부법' 분석 후 충격 받은 전문가" 위키트리. 2015.12.16.
-
"서울대 재학생 성적 상위 1%의 공부법, 가히 충격적" 국민일보. 2015.12.16.
-
교육과혁신연구소 이혜정 소장 "학생들 창의력과 비판력 키워주는 능동적 교육 중요" 헤럴드경제. 2015.12.16.
-
“대학은 해답을 찾는 곳이 아니라 질문을 찾는 곳” 서울대 학부 교육 어디로 나아가야 하나. 서울대저널. 2015.09.14.
-
"입시 위주 교육이 ‘말문’을 막는다" 세계일보. 2015.01.21.
-
이혜정 “우리나라 대학교육, 인재들 정지 상태로 만들어” 투데이신문. 2015.01.21.
-
"입 닫고 받아 적기만 해 A+… 창조적 비판 사라진 대학" 한국일보. 2014.12.09.
-
대학의 공부, 어디로 가야 하나? 『서울대에서는 누가 A+를 받는가』 교보문구 북뉴스. 2014.11.28.
-
"서울대생에게 A+학점이 수여되기까지" 대학신문. 2014.11.09.
-
[책의 향기/이 책, 이 저자] “창의적사고력 중시한 학생들 낮은 학점 받아 충격” 동아일보. 2014.10.25.
-
비판·창의력 높으면 서울대 A+ 학점 받기 힘들다? 경향신문. 2014.10.24.
-
"교수 말 토씨까지 받아 적어야 A+ 받는 서울대" 한겨레. 2014.10.24.
-
"A+의 허와 실…한국 대학교육의 길을 묻다" 헤럴드경제. 2014.10.24.
-
A+의 역설… ‘서울대에서는 누가 A+를 받는가’ 국민일보. 2014.10.24.
-
"교수 강의 그대로 적는 서울대 학생들 학점은 좋아도 창의적 사고력 부족" 중앙일보. 2014.10.24.
-
서울대 교수의 탄식 "학부생들은 버려졌잖아요" 연합뉴스. 2014.10.21.